본문 바로가기

카스토리 소식

폭스바겐 디젤 게이트 미국 보상 발표, 유럽과 우리나라는?

디젤 게이트와 관련, 미국에서 150억 달러 수준의 비용으로 소비자와 당국에 배상을 결정한 폭스바겐.




문제의 엔진이 장착된 47만 5천명이 배상의 대상이며, 소유주들은 차량을 되팔거나 수리받는 것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소유주에게는 차량의 상태나 마일리지 등을 고려해서 각기 다른 배상액이 지급되죠. 



외에도 미국 환경보호청에 배상할 27억 달러도 앞서 언급한 150억 달러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 배출가스 저감을 위한 연구비용 20억 달러도 포함되었는데, 미국 내 소비자 집단 소송 합의액 중 가장 큰 규모라고 합니다.




이와 같은 사항의 발표 후 유럽에서도 동일한 수준의 배상을 원하고 있습니다. 디젤 게이트와 관련해 산업정책 위원은 유럽의 소비자들도 마땅히 미국과 같은 수준의 배상을 받아야 한다고 밝히기도 했죠. 폭스바겐이 고객들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임을 강조하면서요.



이에대해 폭스바겐은 명확한 답을 제시하지 않고 있습니다. 미국과 규정이 달라 소프트웨어의 업그레이드로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알렸고, 해결을 위한 리콜 절차는 아주 느리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미국 보다 훨씬 많은 차량을 구매한 유럽인들로써는 아주 답답하고 화가 나는 일이 아닐까 싶은데요.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해당 문제에 대한 명확한 답을 내어놓고 있지 않습니다. 



해당되는 차량은 총 12만 5천대 정도로 미국과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치팅이 있었음이 밝혀졌지만, 폭스바겐 코리아의 대응이 여러차례 도마에 오를만큼 무성의 한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미와 동일한 수준의 보상을 다른 시장에 적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폭스바겐의 발표 역시 마찬가지.




이러한 시점에서 국내에 판매된 1,2000여대의 1.4 TSI 모델 역시 인증을 받기 위해 불법적인 조작이 있었음이 밝혀졌습니다. 북미에 판매된 디젤 모델에서 시작된 배출가스 게이트는 유럽을 비롯, 전 세계로 확대되었고 이제는 그 끝을 알 수 없는 상황이 되었는데요. 지난 2015년, 유럽에서 판매된 일부 가솔린 모델에서 치팅이 확인되자 폭스바겐 코리아는 "유럽에서 판매된 모델의 문제로 국내에 판매되는 모델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던 말이 거짓임은 오래지 않아 밝혀지게 되었죠.



글로벌 1위 업체를 위한 폭스바겐의 야심이 낳은 결과 '디젤게이트'. 그 끝은 어디고 폭스바겐은 어떻게 소비자들의 신뢰를 회복할지, 마치 한편의 막장 드라마를 보듯 결과가 궁금해집니다.




참고로 북미에서의 배상은 2.0L TDI 엔진 탑재 차량에 국한된 것으로 3.0L TDI 엔진을 탑재한 폭스바겐, 아우디, 포르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고 합니다. 때문에 지금의 배상액보다 훨씬 큰 규모의 배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미에서만"